티스토리 뷰

원문 : http://blog.naver.com/direa0609/220543927751


      오늘은 '기간계/계정계/정보계/대외계' 라는 단어의 뜻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단어들은 금융권 IT 관계자들에게는 아주 익숙한 단어지만, IT와 연관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외계어(?)처럼 들릴 수도 있는 단어들일 수도 있겠네요.( IT 전공자가 아닌 저에겐, 처음에는 외계어처럼 뜻모를 단어로 들렸으니까요...^^; ) 

    

      오늘은, 디리아인이라면 누구나 아는 단어인 이 단어들의 정의를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로, 기간계

새로운 솔루션 도입 전 고객이 이전에 사용하던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두번째로, 계정계

금융권의 다양한 시스템 중 고객의 거래를 처리하는 핵심 시스템입니다. 특히 개인/법인/기타 고객들이 가진 통장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입금/출금/계좌이체/지로 신규개설/폐쇄 등의 전반적인 금융업무가 모두 여기에 해당합니다.따라서 은행 내 시스템의 여러 범주 가운데 가장 거대하고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죠?


      세번째로, 정보계

계정계가 고객의 거래를 관리한다면 정보계는 거래의 '기록'을 관리하고 기록의 '통계'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정보계 시스템은 기록을 바탕으로 예측성과측정결산 등의 업무를 처리합니다흔히 데이터웨어하우스라고 부르는 시스템이 정보계 시스템의 중심입니다정보계에서 데이터로의 접근성에 대한 속도가 중요시되며 DW에 비해 정보를 저장하는 기간이 짧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마지막으로, 대외계 

각 금융기관의 대내외 망을 연결하는 시스템으로 CD공동망타행환전자금융사이버증권기업뱅킹신용정보 등의 업무를 가능하게 하며, 디리아의 핵심 기술이기도 하지요.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